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7탄] 건강 문제로 퇴사한 경우 신청 절차 (2025년 최신)

by 올리브톡 2025. 7. 10.

[실업급여 7탄] 건강 문제로 퇴사한 경우 신청 절차 (2025년 최신)

질병 또는 부상 등 건강 문제로 인해 더 이상 근무를 지속할 수 없어서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 의사의 진단서나 소견서를 통해 입증할 수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단순 피로나 스트레스는 인정되지 않으며, 의학적 사유가 명확해야 합니다.


✅ 어떤 경우에 해당하나요?

  • 근무 중 부상, 통증, 만성질환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어려운 경우
  • 의사가 일정 기간 이상의 안정, 휴식, 퇴직을 권유한 경우
  • 업무환경이 병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인 경우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요약

  • 의사의 진단서 또는 소견서에 ‘근무 지속이 어렵다’는 내용이 명시되어야 함
  • 업무와 질병의 연관성 또는 일반 질환도 가능

✅ 제출해야 할 증빙서류

서류 용도
의사의 진단서 업무 지속이 어려운 건강 상태 명시
의료기관 진료내역 통원·입원 이력 확인용
퇴사사유 확인서 (회사 작성) 건강 문제로 퇴사했음을 설명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요약

  1. 워크넷 이력서 등록
  2.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신청
  3.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이수 (50분)
  4. 고용센터 방문 후 진단서 등 증빙서류 제출

✅ 고용보험 퇴직확인서 입력 시 회사가 해야 할 것

  • 이직사유 코드: 21번 – 건강 악화로 인한 자발적 이직
  • 기타 사유란: "질병으로 업무 지속 어려워 본인 요청 퇴사 처리"

📌 신청 요건 요약표

구분 내용
이직사유 코드 21번 – 건강 악화
회사 입력 내용 건강 문제로 인한 본인 요청 퇴사
필요서류 진단서, 진료기록, 퇴사 확인서
수급 가능 여부 의학적 증빙 있으면 대부분 인정

💡 TIP:
단순 피로나 스트레스는 인정되지 않으며,
의사의 소견에 ‘업무 지속이 어려움’이라는 표현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가능하면 ‘진단서 + 통원기록’ 같이 제출하면 수급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