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6탄] 사업장 이전·통근 불가 거리로 인한 퇴사 신청 절차 (2025년 최신)

by 올리브톡 2025. 7. 10.

[실업급여 6탄] 사업장 이전·통근 불가 거리로 인한 퇴사 신청 절차 (2025년 최신)

회사 측의 사업장 이전, 공장 통합, 이전 통보로 인해 통근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어려워져 자발적 퇴사한 경우에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멀어졌다는 주장만으로는 인정되지 않으며, 거리·시간·교통편 등의 구체적 상황을 입증


✅ 어떤 경우에 해당하나요?

  • 사업장이 이전되어 기존 출퇴근이 매우 어려워진 경우
  • 교통수단이 부족하거나 통근 시간이 2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 직전까지 다니던 사업장이 폐쇄되고 통합 이전 통보를 받은 경우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요약

  • 사업장 이전이 회사 사정에 의해 진행되었음을 입증
  • 통근 시간이 극단적으로 증가했거나 교통편이 부족함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제출해야 할 증빙서류

서류 용도
회사 이전 공지문 사업장 이동 여부 증빙
통근거리 확인자료 (출·퇴근 교통편 캡처 등) 이전 대비 시간/거리 비교
퇴사사유 확인서 출근 곤란으로 인한 자발적 퇴사 사유 설명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요약

  1. 워크넷 이력서 등록
  2.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신청
  3. 온라인 교육 이수 (50분)
  4. 고용센터 방문 상담 → 사업장 이전 확인서류 제출

✅ 고용보험 퇴직확인서 입력 시 회사가 해야 할 것

  • 이직사유 코드: 27번 – 사업장 이전으로 인한 통근 곤란
  • 기타 사유란: "사업장 이전으로 통근 곤란, 근로자 요청으로 퇴사 처리"

📌 신청 요건 요약표

구분 내용
이직사유 코드 27번 – 사업장 이전
회사 입력 내용 통근 곤란으로 인한 본인 요청 퇴사
필요서류 이전 공지문, 거리 비교자료, 사유서
수급 가능 여부 사유와 증빙만 정확하면 대부분 인정

💡 TIP:
출퇴근 소요 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 또는 교통편이 현저히 나쁜 경우,
‘근로자의 책임이 아닌 통근 불가 상황’으로 실업급여가 인정됩니다.
지도 캡처, 길찾기 스크린샷도 유용한 증빙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