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2탄] 배우자 전근·이사로 인한 자발적 퇴사 신청절차(2025년최신)

by 올리브톡 2025. 7. 9.

[실업급여 2탄] 배우자 전근·이사로 인한 자발적 퇴사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의 전근, 이전, 또는 동거를 위한 주거지 이동으로 인해 근로자가 퇴사한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 이사가 아닌, 배우자의 직장 이동에 따라 불가피하게 퇴사한 경우에 한합니다.


✅ 어떤 경우에 해당하나요?

  • 배우자가 군인, 공무원, 직장인으로 타 지역으로 발령났고,
  • 해당 지역으로 전근 또는 전출하면서 가족과 함께 이사하게 되어 퇴직한 경우
  • 또는 신혼으로 동거를 목적으로 거주지를 변경하며 퇴사한 경우

✅ 실업급여 수급 조건 요약

  • 배우자의 이직 또는 발령이 ‘객관적 사실’로 확인되어야 함
  • 통근 거리상 기존 직장으로 다니는 것이 현실적으로 곤란한 경우

✅ 제출해야 할 증빙서류

서류 용도
가족관계증명서 배우자 관계 확인
주민등록등본 실제 동거 확인 (이사 이력 포함)
배우자의 전근발령서 또는 재직증명서 이직 사유 확인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요약

  1. 워크넷 이력서 등록
  2.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신청
  3. 온라인 수급자 교육 이수 (50분)
  4. 고용센터 방문 상담
  5. 증빙서류 제출 → 정당한 이직 여부 판단

✅ 고용보험 퇴직확인서 입력 시 회사가 해야 할 것

  • 이직사유 코드: 25번 – 배우자의 전근, 이전, 동거 목적 이사
  • 기타 사유란에: “배우자의 전근으로 인해 통근 불가 거리로 이사하여 본인 요청으로 퇴사”

📌 신청 요건 요약표

구분 내용
이직사유 코드 25번 – 배우자 전근/동거 목적
회사 입력 내용 본인 요청 퇴사 (배우자 전근으로 인한 동반 이사)
필요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전근발령서, 주민등록등본
수급 가능 여부 고용센터가 정당한 이직으로 인정 시 가능

💡 TIP:
단순한 이사로는 인정되지 않으며,
배우자의 전근이 객관적으로 증빙되어야 실업급여가 가능합니다.
모든 서류는 퇴사 후 1년 이내 신청 시 유효합니다.